오징어게임 엔딩 리뷰 (의미, 복선, 상징성)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전 세계를 뒤흔든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 시즌 1의 마지막 화는 단순한 결말을 넘어서 강한 메시지와 상징성을 담고 있었습니다. 주인공 기훈의 선택, 게임의 진짜 목적, 그리고 충격적인 복선 회수는 많은 시청자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겼죠. 이번 글에서는 시즌1 최종화의 의미와 복선, 그리고 그 상징성을 중심으로 오징어게임의 엔딩을 리뷰해보겠습니다.
엔딩의 의미와 메시지
오징어게임 시즌1의 마지막 회는 단순한 서사적 결말이 아니라, 자본주의와 인간 본성에 대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는 장면으로 가득합니다. 456번 참가자 성기훈이 최종 우승자가 된 후, 막대한 상금을 받고도 삶의 의미를 잃어버리는 모습은 현대 사회의 씁쓸한 현실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특히 마지막 장면에서 기훈이 미국행 비행기를 타지 않고, 다시 게임의 실체를 추적하기 위해 방향을 바꾸는 장면은 단순한 반전을 넘어 드라마의 본질적인 메시지를 드러냅니다. 이는 “생존을 넘어선 책임”이라는 테마를 상징하며, 오징어게임이 단순한 생존 게임이 아님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퀀스죠.
또한 시즌 전체를 관통하는 '빨간 머리 염색'이라는 설정 역시 상징성이 짙습니다. 기훈은 자신의 과거와 결별하고자 붉은 머리로 변신하지만, 결국 현실을 마주하고 행동에 나섭니다. 이는 인간의 변화, 혹은 각성의 은유로 해석될 수 있죠.
복선 회수와 구성의 치밀함
오징어게임 시즌1은 초반부터 촘촘히 깔아둔 복선들을 마지막 화에서 치밀하게 회수하며 탄탄한 구성력을 보여줍니다. 가장 충격적인 복선 회수는 바로 001번 참가자 오일남의 정체였습니다. 처음엔 치매에 걸린 노인으로 보였던 인물이 사실상 이 게임의 설계자이자 주최자였다는 반전은 시청자들을 충격에 빠뜨렸죠.
사실 시즌 초반부터 그의 행동에는 석연치 않은 부분이 많았습니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게임에서 무사히 지나가는 모습, 구슬치기에서 이상한 규칙을 주장했던 점 등은 그의 정체를 암시하는 복선이었죠. 그리고 마지막 병실에서의 대화는 게임의 철학적 기반을 설명하는 동시에, 인간의 본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중요한 장면입니다.
이처럼 오징어게임은 단순히 시청자 몰입을 위한 반전 드라마가 아니라, 스토리 전체가 유기적으로 구성된 매우 정교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극찬을 받고 있습니다. 복선의 회수 방식은 이 드라마가 단순한 스릴러가 아닌, 서사 중심의 철학적 작품이라는 것을 증명합니다.
상징성과 사회 비판
오징어게임 시즌1의 최종화에는 다양한 상징과 사회적 은유가 숨겨져 있습니다. 참가자들이 입은 초록색 체육복, 관리자들의 핑크 유니폼, 그리고 게임장의 디자인은 자본주의 사회 속 계급과 감시 체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장치입니다. 특히 마지막 게임인 ‘오징어게임’ 자체는 한국 어린이 문화의 상징이면서도, 극한의 폭력성과 생존 게임으로 치환되며 이질적 충격을 주죠.
기훈이 상금을 받고도 사용하지 못하는 모습은 자본주의의 허무함을 보여주며, 승자가 된 이후에도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고민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기훈이 사회적 약자였던 다른 참가자들의 희생을 잊지 않고, 끝내 조직을 추적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장면은 시청자들에게 ‘개인의 승리가 아닌 공동체의 기억’이라는 메시지를 남깁니다.
전체적으로 드라마는 가난, 부채, 경쟁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인간이 어떤 선택을 하는지에 대한 사회 비판적 시선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사회는 물론 전 세계 시청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메시지였습니다. 오징어게임의 상징성은 단순한 드라마를 넘어서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입니다.
오징어게임 시즌1의 마지막 회는 결말, 반전, 메시지 모든 면에서 완성도 높은 마무리를 보여주며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단순한 생존 게임을 넘어선 인간의 선택과 책임, 사회 시스템에 대한 비판까지 담아낸 엔딩은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회자되고 있습니다. 아직 보지 않았다면 꼭 시청해보시길 추천드리며, 이미 본 분이라면 복선과 상징을 다시 되새기며 재시청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