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리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티빙에서 스트리밍 중인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전 지구적 재난 이후,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디스토피아 재난 드라마다. 동명의 웹툰 「유쾌한 왕따」를 원작으로 하며, 박서준, 이병헌, 박보영 등 한국 대표 배우들이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이 영화는 단순한 재난 생존극을 넘어서, ‘인간성’이 어디까지 무너질 수 있는지, 그리고 공동체란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진다. 특히 한국 사회 특유의 아파트 문화와 권력 구조를 절묘하게 엮어낸 점에서 많은 비평적 호평을 받고 있다.
폐허 속 유일한 황궁 아파트의 생존자들
영화는 대지진으로 서울이 폐허가 된 이후의 시점에서 시작된다. 모든 건물이 무너졌지만 단 하나, ‘황궁 아파트’만은 기적적으로 멀쩡하게 남는다. 이곳은 곧 피난처가 되고, 살아남은 외부인들이 몰려들면서 아파트는 혼란에 휩싸인다. 아파트 주민들은 ‘우리끼리라도 살아남자’는 논리로, 외부인들을 차단하기로 한다. 이 결정의 선두에 선 인물이 바로 ‘영탁’(이병헌)이다.
영탁은 본래 아파트 주민도 아닌 임시 거주자였지만, 대지진 이후 자신감을 얻으며 주민 대표로 선출되고, 곧 아파트의 독재자가 된다. 한편, 평범한 공무원 ‘민성’(박서준)과 그의 아내 ‘명화’(박보영)는 공동체 안에서 점차 도덕성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게 된다. 초기에는 생존과 안정을 위해 영탁의 결정을 지지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폭력적 통치에 의문을 품고 내면적 균열을 겪는다. 이 영화가 흥미로운 지점은, 명확한 외부 위협이 사라진 이후 인간 사이의 위협이 더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누가 진짜 적인가’라는 질문은, 생존 그 자체보다 더 무거운 질문을 관객에게 던진다.
영탁이라는 캐릭터 생존인가, 지배인가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 가장 인상적인 캐릭터는 단연 이병헌이 연기한 ‘영탁’이다. 그는 처음에는 책임감 있는 지도자처럼 보인다. 아파트를 지키기 위해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질서를 유지하려 노력한다. 하지만 권력은 빠르게 변질되고, 영탁은 점점 폭력적이고 독단적인 방식으로 주민들을 통제한다. 그는 외부인들을 ‘위험 요소’로 간주하고 무차별적으로 내쫓거나 심지어 폭력을 행사한다. 심지어 아파트 주민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다른 사람들을 처벌하며, 자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이들을 제거해간다. 그는 점점 ‘지배자’로 변모하고, 그 과정에서 선과 악의 경계는 무의미해진다.
이병헌은 이 캐릭터를 단순한 악역이 아니라, 시대가 만들어낸 비극적 인물로 표현한다. 영탁은 재난이라는 상황에 맞서 인간성과 권력을 동시에 잃어버린 현대인의 상징처럼 보인다. 그가 왜 그렇게까지 권력을 탐하게 되었는지, 그의 불안과 피해의식은 어디서 비롯되었는지를 이해하게 될 때, 관객은 더 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영탁은 단지 영화 속 독재자가 아니라, 위기 상황에서 누구나 될 수 있는 또 다른 자아를 상징한다. 이 영화가 주는 진짜 공포는 바로 그런 ‘보통 사람의 괴물화’이다.
인간은 얼마나 잔인해질 수 있는가 공동체의 위선
영화의 중후반부터는 공동체 내부의 균열이 본격적으로 드러난다. 처음에는 ‘우리가 먼저 살자’는 생존 본능이었지만, 곧 그 논리는 ‘우리가 옳다’는 정당화로 이어진다. 그리고 그 정당화는 ‘다른 사람은 틀렸다’는 배제의 논리가 된다. 영화는 실제 한국 사회의 아파트 문화, 지역주의, 계층 차이를 은유적으로 비판한다. 황궁 아파트라는 공간은 더 이상 단순한 생존지가 아니라 ‘소유’의 상징이 된다. 여기 사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 내부자와 외부자, 권력을 가진 자와 없는 자. 그 계층화는 너무도 현실적이고 무섭다. 명화는 점점 이러한 변화에 의문을 품는다.
처음에는 남편 민성과 함께 질서를 따르려 했지만, 점점 비인간적 결정들에 반감을 느끼고 갈등하게 된다.
‘나만 살아남는 것이 과연 옳은가?’
‘사람을 내쫓고 죽이는 공동체에 속해 있는 나는 과연 인간인가?’ 이 질문들은 관객에게도 그대로 향한다.
만약 나였다면?
나도 그렇게 살기 위해 비인간적인 선택을 했을까?
이 영화의 진짜 메시지는 ‘유토피아란 없다’는 것이다. ‘유토피아’라는 이름은 결국 누군가의 배제와 희생 위에서 만들어진 허상일 뿐이며, 그 안에 있는 사람들조차 결국 인간성을 상실하게 된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재난이라는 장르적 외피를 입고
실상은 인간과 공동체, 권력과 윤리에 대한 묵직한 철학적 질문을 담고 있는 수작이다. 이병헌의 강렬한 연기, 박서준과 박보영의 섬세한 감정선, 그리고 날카로운 사회 비판이 어우러져 관객을 끝까지 몰입하게 만든다. 단 한 채 남은 아파트에서 펼쳐지는 ‘문명 이후의 인간 드라마’.
우리가 지닌 본성, 그리고 살아남기 위해 감당해야 하는 윤리적 무게를 스크린 위로 날카롭게 끌어올린다. 지금 티빙에서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감상하며, ’만약 내가 그 아파트에 있었다면?’이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길 바란다. 이 영화는 단지 ‘재난’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응시하고 있기 때문이다.